할로윈 팝업스토어

집 근처에 할로윈 팝업스토어가 등장했지뭐에요. 알고보니 다음달 10월 31일은 할로윈이라고 하더라고요. 대학생 때 영어회화 수업에서 할로윈에 대해 배운것같은데 벌써 10년전 일이라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그래서 이번 기회를 빌미로 다시 네이버 검색을 좀 했습니다. 아래 할로윈의 글은 네이버 백과사전에서 고대로 가져온 정보입니다. 정말 액기스 정보들을 잘 정리해두었더라고요. 우선 할로윈에 대해 배경지식을 쌓은 뒤, 제가 찍어온 할로윈 팝업스토어 사진도 구경하고 가세요.


Halloween | 할로윈

축제 정의

핼러윈(Halloween)은 매년 10월 31일, 그리스도교 축일인 만성절(萬聖節) 전날 미국 전역에서 다양한 복장을 갖춰 입고 벌이는 축제다. 핼러윈은 공식 휴일이 아니며 행사는 대부분 해가 진 뒤에 진행된다. 본래 핼러윈은 켈트인의 전통 축제 ‘사윈’(Samhain)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켈트 족은 한 해의 마지막 날이 되면 음식을 마련해 죽음의 신에게 제의를 올림으로써 죽은 이들의 혼을 달래고 악령을 쫓았다. 이때 악령들이 해를 끼칠까 두려워한 사람들이 자신을 같은 악령으로 착각하도록 기괴한 모습으로 꾸미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이 핼러윈 분장 문화의 원형이 됐다.

미국의 대표적인 축제일인 핼러윈이 되면 남녀노소 다양한 분장을 하고 축제를 즐긴다. 19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미국의 핼러윈은 켈트 족의 풍습을 간직하고 있던 스코틀랜드 · 아일랜드 이민자들이 치르는 소규모 지역 축제였다. 그러나 1840년대 아일랜드 대기근으로 1백만 명의 아일랜드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핼러윈이 퍼져나가기 시작했고, 지금은 미국을 대표하는 축제로 자리 잡았다.

핼러윈 데이가 되면 각 가정에서는 호박에 눈 · 코 · 입을 파서 잭오랜턴(Jack-O’-Lantern)이라는 등을 만들고, 검은 고양이나 거미 같이 핼러윈을 상징하는 여러 가지 장식물로 집을 꾸민다.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는 원래 순무로 등불을 만드는 전통이 있었으나 미국에 건너와서는 순무보다 흔한 호박으로 대체됐다.

text-blog-holloween-2
잭오랜턴 만들기: 아이들이 호박에 눈 · 코 · 입을 파서 잭오랜턴을 만들고 있다.

오늘날 핼러윈은 본래의 의미를 상실한 채 너무 상업적으로 변질됐다는 인식이 있으나, 켈트인들이 먼저 세상을 떠난 이들의 평온을 빌고 중세 사람들이 가난한 이들에게 음식을 베풀었던 것처럼 나보다 남을 생각하며 핼러윈을 지내는 사람들도 많다. 이들은 가까운 이웃을 찾아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 전 세계의 아이들을 위해 식품과 의료품을 지원하는 등 뜻깊은 하루를 보낸다.

또한 핼러윈은 단절된 채 지내던 이웃 사이에 다리를 놔주고 지역의 문화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지역 축제로서의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방면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축제의 순기능을 보여주는 사례다. 무엇보다 핼러윈 데이에는 평소에 죽음이나 불운을 떠올리게 하는 유령, 박쥐와 검은 고양이마저 즐거움의 상징이 되며, 남녀노소 모두가 일상에서 벗어나 즐거운 축제를 만끽한다.


주요행사 

1) 잭오랜턴(Jack-O’-Lantern)

잭오랜턴은 핼러윈을 대표하는 상징물로, 커다란 주황색 호박의 속을 파내고 악마의 얼굴 모양으로 눈 · 코 · 입을 도려낸 뒤 속에 초를 고정시킨 것이다. 잭오랜턴 호박으로 만드는 등불 잭오랜턴은 핼러윈에 인간 세상을 떠도는 영혼들의 길잡이이자 핼러윈의 대표적인 상징물이다. 

>>> 펌프킨 패치 방문 & 잭 오 랜턴 만들기 글 보러가기

text-blog-holloween-3

2) 색깔과 주제

검정주황은 핼러윈을 상징하는 색이다. 호박의 주황색은 가을과 관련이 깊고 검은색은 어둠과 악마를 상징한다. 또한 핼러윈은 죽음과 악마, 악령 등과 관련된 유래를 지닌 만큼 죽음을 상징하는 유령이나 해골을 비롯해 검은 고양이, 거미, 박쥐 같이 불운을 가져온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주제로 꾸며진다. 축제용 장식품과 복장도 악마, 마녀, 박쥐, 고블린(Goblin), 좀비 등 기이한 것들이 많다. 드라큘라나 프랑켄슈타인처럼 문학 작품이나 공포 영화의 주인공도 흔히 등장하며 최근에는 인기 있는 만화 주인공이나 유명인을 흉내 내 분장하는 경우도 많다.

3) 트릭 오어 트릿(trick or treat)

‘트릭 오어 트릿’은 핼러윈의 대표적인 행사다. 이 명칭은 아이들이 외치는 “과자를 안 주면 장난칠 거야”(trick or treat)라는 말에서 따온 것이며, 놀이 자체는 특별한 날이 되면 집집마다 돌아다니는 아이나 가난한 이들에게 음식을 나눠주던 중세의 풍습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10월 31일 저녁이 되면 아이들이 마녀나 요정, 유령, 인기 만화의 주인공 등으로 분장하고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맛있는 것을 주지 않으면 장난을 치겠노라 으름장을 놓는다. 이때 외치는 말이 ‘트릭 오어 트릿’. 아이들을 맞이한 집에서는 이들의 요구대로 사탕이나 과자 등을 안겨준다. 이날 학교를 비롯한 곳곳에서 분장 파티가 열리며 아이들뿐 아니라 성인들도 전통적인 주제나 유명인 혹은 영화 주인공으로 분장하고 축제를 즐긴다.

text-blog-holloween-4
text-blog-holloween-5

집 앞에 밝혀둔 잭오랜턴은 핼러윈 장식이자 축제에 참여한다는 표시이기도 하다. 아이들은 아무 집이나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문 앞에 잭오랜턴을 밝히는 등 핼러윈 축제에 참여한다는 표시를 한 가정을 방문한다. 축제에 참여하긴 하되 아이들에게 일일이 사탕을 나눠주지 않고 문 앞에 사탕이나 초콜릿을 가득 담은 바구니를 놓아두기도 한다. 먹을 것을 주지 않을 경우 아이들은 비누로 유리창에 낙서를 하거나 가벼운 장난을 치는데, 대부분 아이들에게 선물을 나눠주는 것을 즐거워하며 미리 준비해놓기 때문에 그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대도시의 상점에서는 여러 가지 게임과 과자류를 준비했다가 쇼핑 온 아이들에게 선물하기도 한다.

4) 음식

핼러윈이 다가오면 미국의 가정에서는 커다란 호박의 속을 파내 잭오랜턴을 만든다. 호박은 등불만이 아니라 축제를 위한 요리 재료로도 사용되는데, 흔히 호박 파이, 호박 빵을 만들어 먹고 구운 호박씨도 즐겨 먹는다. 아이들을 위해서는 사탕이나 쿠키, 초콜릿처럼 달콤한 간식을 준비한다. 사과 캐러멜, 시럽을 입힌 사과 사탕 등 사과로 만든 간식이 유명하며 눈알, 두개골, 거미, 박쥐, 지렁이 등 괴기스럽고 혐오스러운 모양의 사탕과 캐러맬, 젤리도 매우 흔하다. 견과류와 향신료를 첨가한 사이다도 핼러윈에 빠지지 않는 음료다. 또 중세에는 만성절과 위령의 날에 ‘소울 케이크’(Soul cake)라 불리는 작은 원형 케이크를 만들어 방황하는 영혼과 가난한 사람들에게 베풀던 전통에 따라 작은 케이크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5) 분장과 가장 무도회

핼러윈이 되면 신기하고 기괴한 분장을 한 사람들이 거리를 활보한다. 핼러윈에 분장을 하는 것은 고대 켈트 족이 한 해의 마지막인 10월 31일 밤, 인간 세상에 찾아오는 악령과 악마들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기이한 모습으로 변장한 풍습에서 유래한 것이다. 미국에서 핼러윈 축제는 주로 아이들을 위한 축제로 발전했는데, 현재는 학교나 직장 혹은 아이가 없는 가정에서도 분장 파티를 여는 경우가 많다. 성인들은 흔히 전통적인 핼러윈 복장 외에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물이나 대통령 같은 정치인, 인기인의 가면을 쓰고 옷을 차려 입고서 가장 무도회에 참석한다.

6) 핼러윈 퍼레이드

핼러윈 데이가 되면 미국 곳곳에서 핼러윈 퍼레이드가 펼쳐진다. 그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이 뉴욕 그리니치빌리지의 뉴욕스 빌리지 핼러윈 퍼레이드(New York’s Village Halloween Parade)다. 1974년 인형 조종가이자 가면 제작자인 랠프 리(Ralph Lee)에 의해 창설된 이 퍼레이드에는 매년 6천 명 이상의 참가자와 2백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몰린다.

text-blog-holloween-6

팝업 스토어 – Halloween City  

주의: 다소 잔인하고 무서운 사진이 있을 수 있으니 심장이 약하신 분들은 여기까지만 보세요!

text-blog-holloween-40

임대로 내놓은 대형매장 건물에 Halloween City라는 팝업스토어가 지난주부터 들어와있어요.
오픈을 며칠전에 했길래 저도 한번 방문해 보았습니다.

text-blog-holloween-7
text-blog-holloween-38

입구에는 ‘트릭 오어 트릿’을 위한 바구니들이 즐비하여 있네요.

text-blog-holloween-8
text-blog-holloween-37

이 아이템들은 뭐라고 불릴까요.. Hanger? 어디 높은곳에 걸어두는 물건임은 틀림없어보입니다.
가격은 많게는 40불정도 적게는 (아래 사진) 6불정도 되었던것 같아요.

text-blog-holloween-14
text-blog-holloween-15

위의 검은 항아리들이 정말 많이 있었는데,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하니, 연기가 마구마구 솟아오르게끔 하는 마녀의 가마솥인것 같아요. 아래 비디오처럼 쓰는 것 같네요. 가마솥에다가 저기 비싼 용액을 넣으면 연기가 나오는 모양입니다.

거미줄도 보이네요. 흰색, 검은색, 형광색등 종류도 다양합니다.

text-blog-holloween-43

거미줄을 이용하여 아마 이 사진과 같은 느낌으로 꾸밀것 같네요.

text-blog-holloween-17
text-blog-holloween-18
text-blog-holloween-26

다양한 의상들도 여러 구역에 나누어져 진열되어 있습니다.

text-blog-holloween-24

색색의 마스크와 악세사리들도 즐비하네요.

text-blog-holloween-22

마스크중에는 2016년 대선후보자들도 보입니다.

text-blog-holloween-20
text-blog-holloween-19

가발과 얼굴 페인팅 물감들도 있고요.

text-blog-holloween-16

무서운 액자, 유리에 붙이는 스티커, 홀로그램등도 많습니다.

text-blog-holloween-21
text-blog-holloween-32

요런것들은 귀엽네요.

text-blog-holloween-36
text-blog-holloween-35

비석과 해골들도 판매합니다.

text-blog-holloween-31

해골모양은 모두 플라스틱이고, 비석은 단단한 스티로폼으로 만들어져있어요.

밤에 보면 정말 무서울것들…

text-blog-holloween-39

형광 아이템들도 정말 다양하게 있구요.

text-blog-holloween-34

테마컬러에 맞추어 일회용 컵과 냅킨들도 판매합니다.

text-blog-holloween-42

카드 쓰는것을 아주 좋아하는 미국인들에게 할로윈에도 카드는 빼놓을 수 없겠죠. 그런데 실제로 할로윈날에 카드를 쓸지는 의문입니다. ㅎㅎ 카드값이 꽤나 비싸거든요.


내용 및 사진/ 동영상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Great American Country(GAC), Youtube

Ciena

캘리포니아에서 활동하는 블로그 운영자이자 콘텐츠 제작자입니다.

Press ESC to close